클라이언트와 서버
1. 클라이언트 :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
2. 서버 : 서비스를 제공(응답)하는 애플리케이션
서버의 종류
어떤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서버의 종류가 다름
서버의 포트
- 같은 컴퓨터 안에(하나의 IP)에 여러 서버 프로그램이 돌아갈 수 있어서, 이를 구별하기 위해 포트(port)를 사용
- IP는 포트(port)와 연결이 되어 있음
- 해당 서버 프로그램에 접속하기 위해서, 연결된 포트 번호에 요청하여 프로그램에 접속
[ 예시 ]
|
웹 애플리케이션 서버(WAS)
- 웹 애플리케이션(프로그램)을 서비스하는 서버
- 원격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게 해주고, WAS(예: 톰캣 서버)가 실행 결과를 전송
- springboot는 내장 톰캣을 사용함
TCP, IP, HTTP
TCP/IP
|
- IP(Internet Protocol) : IP주소를 이용한 전송 프로토콜, 비 연결 기반
- TCP(Transfer Control Protocol)
- 패킷 전송을 제어(통신이 끊기는 상황이 있으면, 확인하여 재 전송 등을 해줌)
- 연결 기반
-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: 텍스트 프로토콜
'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security] 3. springconfig 설정 : BCrype 암호화 메서드 (0) | 2024.01.10 |
---|---|
[spring security] 2. 인증과 인가, securityConfig 설정 (1) | 2024.01.10 |
[SpringBoot] DAO와 Mapper 인터페이스의 차이? (0) | 2024.01.10 |
[spring security] 1. 스프링 시큐리티의 동작 원리 (0) | 2024.01.10 |
원격 프로그램의 작성 및 실행 (0) | 2024.01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