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turn문
정의
- 호출된 메서드를 강제로 종료하고,
- 호출한 곳으로 복귀하는 경우 사용
형식
return 2 // 형식: return 값
특징
- 메서드 수행을 강제로 종료한 후, 호출한 곳으로 복귀
- return 다음에 값을 지정하면, 호출한 곳으로 값을 리턴
대개, 메서드를 수행한 후에 얻은 값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
return문을 사용하여 호출한 곳으로 값을 리턴하고, 이것을 변수에 담아서 사용함
- 리턴 값은 메서드 선언부의 리턴 타입과 반드시 일치할 것
static int multiply(int a, int b) { // 메서드 선언부의 리턴 타입(int)
return 3; // 가능: int타입인 3은 가능
return 3.3333; // 불가능: 실수형인 3.33d은 리턴타입(int)와 맞지 않음
}
예시
public class FucntionTest {
static int add(int a, int b) { // return타입: int
int sum = 0;
sum = a + b;
return sum; // sum값이 3.33(실수)라면, int타입(정수)이 아니라서 에러 발생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result = add(2,3); // 호출한 곳으로 sum(5)을 리턴, result 변수에 저장
System.out.println(result); // 5
}
}
- return하는 값인 sum의 타입은, 메서드 선언부의 리턴 타입인 int와 동일해야 함
- static int add(int a, int b)
- 만약, 최종 sum값이 3.33(실수)라면, 정수(int) 타입이 아니라서 에러 발생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instance 메서드, static 메서드 (0) | 2024.04.17 |
---|---|
[JAVA] 메서드(리턴 타입의 유무, 매개변수 유무), 지역변수 (0) | 2024.04.17 |
[JAVA] 배열 관련 메서드(equals, toString, sort) (0) | 2024.04.17 |
[JAVA] 2차원 배열(선언, 초기화, 길이 구하기) (0) | 2024.04.17 |
[JAVA] 배열(1차원 배열, 배열 생성, 초기화) (0) | 2024.04.16 |